세포에 전자문신해서 건강체크한다···그게 말이 돼?

‘뇌세포 표면에 극초미세 전자문신을 해서 건강 이상을 원격으로 사전에 체크한다.’(?)

공상과학(SF) 소설이나 영화 속 얘기처럼 들리지만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진이 이를 위한 첫 단추를 끼우는 데 성공했다.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수 있을지 모르는 기술인 셈이다.

연구팀은 쥐의 뇌세포 하나하나에 붙일 수 있는 금으로 된 나노급 센서·부품 결합물(어레이), 이른바 전자문신을 개발해 16시간동안 부착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전자문신의 크기는 일상 속에서 사용되는 핀 머리의 수십분의 1에 불과해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들 정도다. 나노급 크기의 점과 나노급 크기의 전선으로 이뤄진 이 전자문신은 놀랍게도 살아있는 세포의 모양에 ‘달라붙고’ ‘순응하는’ 특징을 갖는다.

뇌표면 세포에 나노급 전자문신을?

쥐의 뇌 섬유아세포를 덮고 있는 금(Au) 소재의 나노 점과 나노 선(와이어)로 이뤄진 전자 문신 어레이. 의사색상(false color)으로 처리돼 노란색을 띠고 있다. (사진=존스홉킨스대)

나노기술은 조직 공학, 약물 전달, 또는 인간의 피부와 내부 장기에 진단 목적을 위해 복잡한 물질을 조사하고 설치하는 데 사용돼 왔다.

이제 미국 존스 홉킨스대 연구진은 생체 뇌세포에 나노물질로 이뤄진 전자 문신(전자부품 및 센서)을 부착해 개별 세포의 건강 상태를 추적함으로써 생체의 건강 이상시 조기에 경고하는 데 사용하려 하고 있다.

이들은 그 첫 단계로 살아있는 쥐의 뇌세포에 금속 나노점과 나노와이어가 그물처럼 결합된 극초미세 전자문신(전자센서·부품 어레이)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들은 사상 최초로 살아있는 쥐의 뇌세포에 300나노미터급(1나노=10억분의 1) 어레이(결합문)를 부착해 달라붙어 있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생체 세포 크기는 100마이크로미터(1미크론·1μm=100만분의 1m)다.

이 나노 전자기술은 뇌세포의 습하고 유동적인 외부 구조를 따르며 수축하면서 세포에 달라붙는 문신 같은 배열을 갖는다. 또한 이 살아있는 세포에 광학 소자나 전자 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해 준다. 살아있는 세포에 나노미터급 전자장치 어레이를 부착하는 것은 (현재로선 용도가 다르긴 하지만) 일론 머스크의 뇌 임플랜트보다도 훨씬더 정교하고 진전된 멋진 기술로 보인다.

연구진이 나노급 어레이를 만들 수 있었던 것은 현대 전자산업 및 광학산업에 혁신을 가져온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NIL)를 이용한 나노 패터닝 기술 덕분이다.

전자문신 기술 개발 책임자인 데이비드 그레이시아스 존스 홉킨스대 교수(화학 및 생체 분자 공학)는 “만약 여러분이 미래에 이 모든 것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상상한다면, 우리는 개별 세포의 상태와 그 세포들을 둘러싼 환경을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센서들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고립된 세포의 건강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 질병을 훨씬 더 일찍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고 장기 전체가 손상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신체에 독성이 없고 비침습적인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 작업에 나선 그라시아스 교수는 이 독성없는 금으로 된 전자문신이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과 기존 센서와 전자 재료 간 간극을 메워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 미세한 얇은 문신처럼 배열된 극초미세 센서들이 본질적으로 바코드나 QR코드와 같다고 말했다.

생체와 나노급 센서가 부착된 첫 사례

얇은 다공성 필름과 금 나노점으로 덮인 쥐 뇌 섬유아세포의 전자현미경 사진. (사진=미 화학학회)

그라시아스 교수는 “우리는 핀 머리의 수십분의 1에 불과한 작은 생체 세포에 전자문신 같은 것을 붙이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이는)생체 세포에 센서와 전자제품을 부착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말했다

연구원들은 전자 배선에서 독성이 없고 신호 손실이나 왜곡을 방지하는 능력으로 잘 알려진 물질인 금을 배열한 형태(어레이)로 문신을 만들었다. 그들은 이 어레이를 섬유아(芽)세포라고 불리는 인체의 조직을 만들고 유지하는 세포에 부착했다. 그런 다음 이 300nm 미만의 금(Au) 나노패턴 어레이를 분자 접착제로 처리한 후 금이 세포에 부착되면 용해되는 겔 같은 성질의 얇은 판(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필름)을 사용해 세포분비막(세포 외 기질)과 결합시켰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인간의 피부와 내장 동물의 장기에 나노 기술을 붙이기 위해 하이드로겔을 사용했다.

연구팀은 자신들의 센서 구조물들(전자문신)이 쥐의 뇌 생체 세포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16시간 동안이나 이 부드러운 세포에 달라붙어 있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살아있는 세포에서 복잡한 나노패턴 부착 실증

그라시아스 존스 홉킨스대 연구팀은 쥐 뇌세포에 금 나노점과 금 나노와이어로 된 전자문신(전자센서·부품 어레이)을 부착했다. 이를 통해 생체 세포와 나노급 전자기기 간에 부작용없이 호환된다는 것을 입증했다.(사진=곽감상, 최수진, 글라시아스랩, 존스홉킨스대)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은 나노 와이어와 나노 점을 단일 세포에 접착하는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초미세 광학 센서와 전자 장치를 단일 세포 수준에서 생물학적 물질과 호환되도록 만들려 한 오랜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라시아스 교수는 “우리는 세포가 죽지 않도록 하면서 복잡한 나노 패턴을 살아있는 세포에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살아있는 세포가 문신과 함께 살고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시험 성과다. 살아있는 세포와 기술자들이 (초미세)전자기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사이에는 종종 현저한 비호환성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 팀이 실현한 중요한 성과로 나노 점들과 나노 와이어들을 문신같은 결합체(어레이) 형태로 붙이는 능력도 빼 놓을 수 없다. 연구자들이 이 기술을 생체 정보 추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센서와 배선을 특정한 패턴으로 배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전자 칩에서 배열되는 방식과도 또 다르다. 생체 정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센서와 배선을 특정 패턴으로 배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라시아스는 “이것(전자문신)은 특정 간격을 둔 배열이다. 무작위적인 나노 점 다발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전자문신이 생체 세포에 더 오랜 기간 동안 붙은 채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생체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 줄 더 복잡한 나노 회로를 뇌세포에 부착하기 위해 준비중이다.

그들은 또한 쥐가 아닌 다른 종류의 동물 생체 세포에서 실험해 보길 원한다.

이 기술의 개발을 이끈 데이비드 그레이시아스 존스 홉킨스 대학 화학 및 생체 분자 공학 교수는 “이것은 살아있는 세포에 센서와 전자제품을 부착하기 위한 첫 단계다”라고 말했다.

인간은 007 영화에도 등장한 생체칩(베리칩)을 손가락 사이에 넣어 결국 현실에서 활용하고 있다. 뇌에 칩을 넣어 병을 치료하는 것은 이미 1972년에 나온 SF소설 ‘터미널맨’에 등장했을 정도록 오래 된 상상력의 산물이었다. 하지만 뇌 임플란트란 이름으로 본격 연구가 진행되고 여러 성과가 나오면서 점차 현실로 바뀌어 가는 중이다. 존스 홉킨스대의 뇌표면에 붙이는 전자문신도 비슷한 경로를 걷게 되지 않을까 한다. 그 시대가 오면 인간은 신체의 다른 부분까지 전자화하면서 고도의 사이보그가 돼 있을지 모른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