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정 AS도 지친다 ‘자가수리 스마트폰’ 출시가 기대되는 이유

[AI요약] 스마트폰 스크린의 흠집을 스스로 수리하는 ‘자가수리’ 기술이 개발되면서, 해당 기술이 빠른 미래 공개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도 손상되면 스스로 고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갖춘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특허를 확보하면서 자가수리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자가수리 디스플레이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X)

긁혀도 스스로 치유하는 스마트폰의 기술적 원리는 무엇일까.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출시할 자가수리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전망에 대해 CNBC 등 외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장분석기관인 CCS인사이트는 2024년 이후 최고의 기술전망을 종합하면서 스마트폰업체가 5년 이내 자가수리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생산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술이 작동되는 기본적인 방법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나노 코팅을 결합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가 긁히면 공기에 노출될 때 반응하게 되고, 결함을 채우는 새로운 물질을 생성하는 것이다.

기술 구현이 가능한 시점에 도달한 상황에서 자가치유 스마트폰의 영역은 더 이상 공상과학 소설이 아니다. 남은 과제는 대중의 기대치를 올바르게 설정하는 일이다. 사실 기업들은 자가수리가 가능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해 수년전부터 이야기해 왔다.

LG는 스마트폰 사업을 철수하기 전, 2013년부터 스마트폰에 자가수리 기술을 내세웠다. 당시 기업은 수직으로 휘어진 화면과 뒷면에 자가기술 코팅이 적용된 ‘G플랙스’라는 스마트폰을 출시한바 있다. 그러나 당시 해당 기술이 정확히 어떻게 작동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른 휴대폰 제조업체들도 스마트폰에 자가수리 소재를 사용한다고 홍보했다. 2017년 모토로라는 금이 갔을 때 스스로 복구되는 ‘형상 기억 폴리머’로 만든 스크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이 기술의 원리는 재료에 열이 가해지면 균열이 치유되는 것이다.

그 사이 애플은 손상되면 스스로 고치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갖춘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특허를 확보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아직 상업적으로 성공한 스마트폰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실제로 이러한 스마트폰을 대량으로 출시하는 데에는 몇 가지 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기업은 스마트폰 스크린에 확실히 식별이 가능한 새로운 기술을 보여주기 위해 연구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해야한다. 또한 수동 개입 없이 스마트폰이 손상 수준을 실제로 수리할수 있는지 사용자에게 제대로 알리기 위한 마케팅 비용이 필요하다.

기술을 분석하는 열성팬이 디스플레이에 심각한 흠집을 내고 스마트폰이 실제로 스스로 자가수리를 하는지 보여주는 영상을 만드는 것을 쉽게 상상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상황이 자가수리 디바이스의 핵심이 아니다. 자가수리는 스마트폰이 스스로 스크린을 최소한으로 수리할수 있는지에 관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모토로라는 금이 갔을 때 스스로 복구되는 형상기억 폴리머로 만든 스크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이미지=핀터레스트)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해 휴대폰 제조업체는 점점 더 창의적으로 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제 평생동안 수십만번 접을 수 있는 폴더블 갤럭시Z폴드5 및 갤럭시Z플립5을 통해 더욱 발전된 디스플레이를 갖춘 상용 스마트폰을 향한 여정을 성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에서 모토로라는 위로 밀면 수직으로 늘어나는 롤러블 컨셉의 스마트폰을 공개하면서 주목받기도 했다.

우드 CCS인사이트 분석가는 “기업들이 현재 개발중인 몇가지 새로운 기술은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줄 것”이라며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깨진 스크린이 기적적으로 다시 복구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개발중인 자가수리 기술은 스크린의 외관상 작은 흠집에 해당된다”고 강조했다.

류정민 기자

znryu@daum.net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