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데이팅 앱 ‘인기’

1997년 개봉된 한석규, 전도연 주연의 영화 <접속>은 PC통신을 통해 아픈 과거를 치유하는 두 남녀의 이야기를 그린 사이버 로맨스 영화다. 서울에서만 67만 관객을 기록하면서 한국 영화 돌풍을 만들어낸 영화 중 하나다. 영화 속 주인공들은 PC 통신을 통해 만나고, 주로 이 안에서 대화한다.

지금은 채팅 앱 등으로 온라인으로 사람을 만나고 대화하는 일이 너무나 흔하지만 당시엔 다소 낯선 소재였다.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로 만남이 꺼려지고 있는 상황에 MZ세대들은 다시 24년 전 PC 통신 시절의 영화 <접속>과 같은 사이버 만남을 즐긴다. 데이팅 앱을 통해서 말이다.

데이팅 앱이 인기를 끄는 이유

어느 시대나 남녀간의 만남은 어떤 식으로든 이어져 왔다. 코로나19 같은 상황에서도 오프라인 소개팅이나 즉석 만남 등은 할 수 없지만 데이팅 앱을 통해서 사이버 만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모바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앱애니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데이팅 앱 다운로드 수는 5억6000만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계 소비자들이 데이팅 앱을 통해 쓴 비용은 무려 30억달러(약 3조3000억원)로 전년 대비 15% 늘어났다. 한국 역시 데이팅 앱을 통한 지출이 늘어나고 있는데 앱애니 자료를 보면 지난해 국내 소비자들은 지난해 데이팅 앱에 약 830억원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가 랜선 연애라는 새로운 만남의 방식을 만들어낸 것이다.

데이팅 앱으로는 미국 앱으로 틴더가 있고, 중국은 탄탄, 그리고 국내 앱으로는 위피와 글램, 아만다가 있다.

이 같은 데이팅 앱에 1980년부터 2004년까지 태어난 MZ세대가 열광하는 것은 MZ세대의 특징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들은 대체로 부담스러운 관계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결혼은 물론 연애도 귀찮다고 느끼는 이가 많다. 심지어 소개팅조차 부담스럽다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미디어를 주로 이용한다. 사이버 공간에서 관계를 형성해주는 데이팅 앱이 성행하는 이유다.

 

틴더를 통해 알아본 MZ세대의 이용 행태

글로벌 소셜 디스커버리 앱 틴더(Tinder)가 코로나19로 인한 틴더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파프리 데브(Papri Dev) 틴더 아태지역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는 “코로나19로 물리적 거리는 멀어졌지만 멀어진 거리를 좁히기 위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시도들이 틴더 멤버들 사이에서도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틴더 멤버들이 틴더 앱 내에서 주고받은 메시지량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메시지가 오갔던 날은 4월 5일로 거리두기가 시작됐던 3월 초 대비 평균 52%의 증가율을 보였다. 틴더 한국 멤버들은 4월 19일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눈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수치인 52% 대비 다소 낮은 38%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이는 메시지량 증가 추세를 따르고 있다. 한국이 속한 아태지역의 다른 국가에서는 대만 27%, 베트남 36%, 인도 32%, 인도네시아 29%, 일본 48%, 태국 37%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전 세계에서는 스페인이 가장 높은 증가율(76%)을 나타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고 대면 만남을 지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틴더 멤버 사이에서도 가상 공간에서의 ‘랜선 데이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틴더 멤버의 프로필상에서 닌텐도의 유명 게임 ‘동물의 숲’ 언급이 급증, 특히 거리두기 초기에는 5배에 달하는 증가량을 보였다. 특히 Z세대가 자신의 프로필에서 동물의 숲을 언급하는 경우는 밀레니얼 세대 대비 2배였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