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 강국 맞나? '기업가치·AI 기술 크게 뒤져'

서울의 강남구의 노른자위 테헤란로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라고 할 정도로 국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스타트업들이 포진해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도 5G가 불통인 곳이 많다. IT 강국, 세계 최초의 5G 상용화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

우리나라가 정말 IT 강국이 맞을까? 전경련이 최근 발표한 2가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ICT 상위 기업의 기업가치 및 AI 기술 등에 있어서 선진국과 큰 격차가 있어 보인다. 대한민국의 ICT 현주소를 돌아본다.

 

ICT 상위 5개사 기업가치 선진국 1/15 수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10년간 한국, 미국, 중국 등 주요국 증권시장 시총 상위 5개 ICT 기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 주요 디지털기업들의 시총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그 규모도 현저히 작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국, 미국, 중국 증시 상위 5개 ICT 기업들의 시가총액 총합계에서 국가별 기업의 가치 차이는 극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MS·아마존·알파벳·페이스북 등 미국의 5개 기업 시총 합은 약 8천92조 원으로, 우리 정부의 올해 본예산(512조 원)보다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텐센트·평안보험·메이퇀 디엔핑·징둥닷컴 등을 앞세운 중국은 약 2천211조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한국의 상위 5개 ICT 기업의 시총 합은 약 530조 원에 불과했다.

특히 인터넷 포털 및 전자상거래 기업 간 차이가 컸다. 네이버, 카카오 등 2개사의 시총은 약 83조 원으로 중국의 전자상거래업체 징둥닷컴 1개사의 시총(120조 원)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총 상위 100대 ICT 기업으로 넓혀 보면 한국의 위상은 더 초라했다. 먼저 가장 많은 수의 기업을 보유한 국가는 애플·넷플릭스·테슬라 등 글로벌 스타 기업을 보유한 미국으로 57개 사, 중국 역시 대표 기업인 알리바바를 포함한 12개 사, 일본과 유럽의 경우 각각 11개 사, 10개 사가 순위에 꼽혔다. ICT 강국 인도 역시 3개사가 순위에 이름을 올린 반면, 한국은 삼성전자만 11위에 랭크됐다. ICT 강국이라 불리는 한국의 글로벌 시장 지분율이 단 1%에 그치는 것이다.

http://img.lb.inews24.com/image_gisa/202008/1597016000632_1_083508.jpg

 

특히 미국의 경우 불과 10년 전만 해도 석유회사 엑손모빌이 독보적인 시총 1위 기업이었지만 2012년 애플이 그 자리를 차지한 후 1~2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또 같은 유통 서비스 분야에서 아마존(39.6%)과 월마트(7.1%)의 10년간 연평균 시총 성장세가 뚜렷한 차이를 보인 만큼 IT 기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지난 4일 기준 미국 증시의 톱10 기업 중 5개가 IT 및 디지털 관련 기업일 정도로 미 증시는 10년 만에 2개 사에서 5개 사로 늘어 포트폴리오 재편을 이뤘다.

MS의 경우 1997년부터 2008년까지 총 20년간 시총 1~4위 차지하다가 애플, 구글 등 후발 IT기업에 밀려 2009년에는 시총 10위 밖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클라우드 사업 확장, 구독 서비스 제공 등의 변화를 통해 2020년 현재 애플과 시총 1위를 다투며 디지털 혁신에 성공했다. 자동차를 디지털 디바이스 개념으로 개발함으로써 패러다임을 전환한 테슬라는 지난 10년간 시총 연평균 증가율 64.3%를 기록해 현재 시총 16위로 톱10 진입을 앞두고 있다. 세계 1위 자동차 기업 도요타의 시총 증가율은 연평균 4.5%에 불과하다.

AI 기술 경쟁력도 선진국 비해 태부족

국내 AI(인공지능) 기술 경쟁력도 선진국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인공지능(AI) 분야 현황과 과제' 분석 보고서에서, 투자·특허·핵심인재 수 등이 AI 선진국 대비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AI 세계시장 규모는 2018년 735억달러에서 2025년 8985억달러로 연평균 43.0%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다. 이에 정부도 2018년 인공지능 R&D 전략, 2019년 인공지능 국가전략 등을 통해 비전과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높은 교육 수준, 최고의 ICT 인프라 등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AI 분야에서 미국, 중국 등 선진국과의 격차는 여전하다는 게 전경련의 분석이다.

 

한국의 AI 논문 수는 세계 9위(6940건)지만, 1위인 중국(7만199건) 대비 10분의1 수준에 불과했다. 질적 지표인 논문 편당 인용 수는 전체 91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특허 수를 기반으로 AI 기술 100대 기업(연구기관)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한국 국적의 연구기관은 미국(44곳)의 11분의1 수준인 4곳(삼성, LG, 현대자동차, 전자통신연구원) 뿐이었다.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석·박사 이상급 연구자 숫자도 부족해 미국(1만295건)의 3.9% 수준인 405명에 불과하다. AI 인력 부족은 고질적인 문제로 고등교육을 받는 대학생 인구수 대비로도 주요국 대비 열위에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한국의 AI 경쟁력은 미국의 80.9% 수준이고, 1.8년의 기술격차가 수년째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는 중국이 국가 차원의 투자 및 지원정책으로 2016년 71.8% 수준에서 빠른 속도로 미국을 따라잡아 2020년 85.8%까지 기술수준이 높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시총을 통해 알 수 있는 기업가치는 실제 시장이 바라보는 향후 전망을 보여준다. 한국 경제가 디지털 이코노미로의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는 주요국에 비해 속도가 느린 것이 사실"이라면서 “"AI의 경우 집중적인 재정 지원과 함께, 비자 요건 완화, 학과 정원규제 유연화 등 핵심 인재를 위한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광우 기자

kimnoba@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