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 대신 폴더블 택한 삼성전자 '전략 통했다'…신형 갤Z, 개통 첫날 신기록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 타이틀을 지키기 위한 삼성전자의 승부수는 '폴더블폰'이었다. 프리미엄폰 시장에서는 애플에 밀리고, 중저가폰 시장에서는 샤오미 등 중국 업체에 치이고 있는 상황이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장점유율 1위 자리를 이미 샤오미에게 내주기도 했다. 베트남 공장 생산 차질 등의 이유가 있다지만, 삼성전자의 입지가 예전 같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갤럭시 노트 시리즈 신제품 발표를 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 시장을 선도할 '치명적 무기'로 폴더블폰에 사활을 걸었다. 가격은 전작 대비 최대 40만원을 내렸고, UDC(언더디스플레이카메라) 등 신기술 적용으로 상품성을 끌어올렸다.

승부수를 띄웠으니 이제 결과를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아직 성과 예측은 이르지만, 국내 시장의 폭발적 반응으로 삼성전자의 전략이 성공적이었다고 가늠해 볼 만한 수치가 나왔다.

‘삼성 갤럭시 언팩 2021’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이 신제품 갤럭시 Z폴드3, 갤럭시 Z플립3를 소개하고 있다.

25일 삼성전자는 갤럭시Z폴드3와 갤럭시Z플립3의 첫날 개통 실적이 약 27만대로, 역대 자사의 국내 최고치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7일간 실시한 사전예약 실적은 약 92만대로 집계됐다. 갤럭시 노트20과 갤럭시 S21을 큰 폭으로 뛰어넘었다. (갤럭시 노트20의 약 1.3배, 갤럭시 S21의 약 1.8배 수준이다) 전작인 ‘갤럭시 Z폴드2’의 예약 판매량(8만대) 대비 10배를 웃도는 규모이기도 하다.

국내 스마트폰 소비자는 첨단 기기와 신제품에 민감한 '테스트 베드'형 소비 성향을 갖추고 있다. 얼리어댑터가 많은 이유도 유행과 식기술에 민감한 소비 특성 때문이다. 애플이 최근 우리나라를 아이폰 출시국 순위에서 다소 앞당기고, LG폰 보상정책을 실시하는 이유기도 하다.

삼성전자의 신형 폴더블폰이 국내 시장에서 흥행 조짐을 보이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흥행돌풍을 이어갈 수 있다는 단초가 된다. 하반기 삼성전자가 애플과 샤오미와의 경쟁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기대되는 부분이다.

윤소영 기자

ericahu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