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된 의료진 못지않은 실력...정맥 주사 놓는 AI 의료 로봇

정맥을 한 번에 찾지 못해 여러 번 주사 바늘을 꽂는 것은 초보 의료인 시절에 겪는 에피소드다. 숙련되면 감각적으로 혈관의 깊이와 굵기를 파악해 채혈이나 정맥 주사(Intravenous injection) 삽입을 한 번에 성공하는 경지에 이른다. 하지만 노인이나 소아같이 정맥을 찾기 어려운 연령대의 환자는 앞에서는 경험도 소용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로 혈관이 잘 안 보이는 환자의 정맥을 찾아 주는 전문 장비를 배치한 곳도 있다. 하지만 그 쓰임은 제한적이다.

정맥 찾는 장치에서 한발 더 나아가 로봇이 직접 채혈이나 정맥 주사 삽입을 한다면 어떨까? 응급실같이 분초를 다투는 환경에서는 한 사람 이상의 몫을 해낼 것이다. 이런 상상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의 발전이 맞물리면서 의지만 있다면 실현 가능한 것이 되었다. 이를 실천에 옮긴 스타트업이 비봇 시스템즈(Veebot Systems)다.

정맥 주사 로봇 '비봇'

비봇 시스템즈는 로봇 공학 기술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비봇이라는 이름의 정맥 주사 로봇을 만들었다. 비봇이 사람의 정맥을 찾아 바늘을 꽂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분이 채 안 걸린다. 정맥을 찾아 바늘을 정확히 삽입하는 성공률은 83%에 이른다. 비봇 시스템즈는 성공률을 곧 90% 이상으로 높일 것이라 밝히고 있다. 이 정도면 의료 현장에 투입해도 큰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비봇이 능숙한 의료진 수준으로 정맥을 찾아 채혈이나 정맥 주사를 삽입할 수 있는 비결은 컴퓨터 비전과 머신러닝 기술에 있다. 비봇의 모습은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혈압 측정기처럼 생겼다. 의자에 앉아 팔을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다. 팔을 넣으면 혈압 측정기처럼 커프가 팔을 조여 온다. 채혈을 위해 고무줄을 팔에 묶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

이후 비봇은 적외선 카메라로 정맥을 찾는다. 카메라가 눈이라면 정맥이 어디 있는지 결정하는 머리의 역할은 머신러닝 모델이 한다. 비봇에 적용한 머신러닝 모델은 의료 영상을 데이터 세트로 훈련을 거듭하며 최적화한 것이다. 따라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정맥을 정확히 찾는다. 정맥 위치를 파악한 다음 비봇은 바늘을 적절한 깊이로 넣는데 이 역시 풍부한 해부학적 지식을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한다.

비봇 시스템즈는 주사를 놓는 로봇의 시장 가능성을 크게 본다. 비봇 시스템즈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1년에 10억 번의 혈액 채취, 2억 5000만 번의 정맥 주사 삽입이 의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비봇 시스템즈는 응급실, 구급차, 보건소 같은 공공 의료 시설에서 로봇이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본다. 사실 채혈과 정맥 주사 삽입은 비봇 시스템즈가 실현한 1단계 구현이다. 비봇 시스템즈는 주사를 놓는 로봇에 아주 간단한 작업만으로 혈액 분석 작업까지 추가할 수 있다고 본다. 이 단계까지 실현되면 자동 주사 로봇 시장의 파이는 더 커질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산업이 의료다. 컴퓨터 비전과 인공지능 기술은 스타트업의 의료 시장 진입 문턱을 낮추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의료 로봇이 스타트업의 손에서 탄생할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다.

박창선 기자

july7su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