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서버 중국으로 옮기는 이유는?

미국 자동차 회사 테슬라가 중국시장 고객들의 데이터 서버를 미국에서 중국으로 옮긴다. 2017년 6월부터 시행한 ‘사이버 보안법’에 의거해 중국에서 사업하는 회사는 고객 서버를 중국에 둬야 한다는 중국법의 규정 때문이다.

24일 주요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중국 고객 데이터와 인증 서비스를 미국에서 중국으로 이전하기로 하고 데이터센터 엔지니어와 관리자 등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 9월부터 테슬라가 상하이공장에서 '모델3'를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중국 정부가 시행 중인 사이버 보안법의 적용을 받게 된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국 시장보다 더 커진 중국 시장의 위엄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에 따르면 중국에서 중대한 정보 인프라를 운영하는 기업은 반드시 중국 내에 중요 정보를 저장하고 중국 정부가 요구하면 이를 제공해야 한다. 중국 정부의 승인 없이 데이터를 해외에 저장하거나 반출하는 기업은 사업 허가를 취소가 가능하다. 중국 정부에 의해 금지된 콘텐츠는 기업이 자체 검열을 통해 걸러내야 하며 이를 지키지 못하면 막대한 벌금을 내야 한다. 미국 기업들은 중국의 해킹 위협을 이유로 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변함이 없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전세계 고객들의 데이터를 미국에 보관해온 테슬라는 이 중에 중국 부분을 빼내 중국 본토에 두기로 한 것이다. 애플은 이미 2018년부터 중국 사용자의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구이저우성 데이터센터에 저장 중이다. 현대자동차도 같은 해 9월 구이저우에 데이터센터를 세웠다.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첨단산업 육성책인 '중국제조 2025'보다 사이버 보안법이 훨씬 더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중국 사업을 대폭 확장하고 있는 테슬라로서는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따를 수밖에 없게 됐다. 작년까지만 해도 중국 비중이 크지 않았고 특히 중국 공장도 없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지난 1월부터 본격적으로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제작된 모델3을 팔면서 중국 규정을 적용 받게 된 것이다.

테슬라는 지난 5월 중국에서 중국산 모델3 11만95대를 팔아 중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1∼5월까지 중국산 모델3은 총 3만2,353대가 팔렸다. 테슬라에게 있어 중국은 미국보다 제품이 더 많이 팔리는 점유율이 높은 시장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미중 갈등의 와중에도 중국 시장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중국 당국으로부터 환대를 받았지만 관련 규제는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드문 이런 보안법 관련 규정은 이미 미중 무역전쟁에서도 논란이 된 바 있다. 미국 등 다른 나라들이 중국 국가권력의 과도한 통제라며 이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