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시작된 연말정산, 사설인증서 경쟁 돌입

올해 연말정산 서비스는 공동인증서와 함께 각 금융사, 빅테크 기업 등의 사설인증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손택스 화면 캡처)

15일부터 시작된 올해 연말정산 시즌부터 사설인증서 사용이 확대되며 이를 둘러싼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빅테크부터 통신사, 은행 등 사설인증서 사업자는 8곳에 달하는 상황이다. 또 올해부터는 이러한 사설인증서를 손택스(모바일 홈택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연말정산 자료를 조회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부터는 공인인증서 외에 카카오, 네이버, 통신 3사의 패스(PASS), 삼성패스, NHN페이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의 인증서가 경쟁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패스’ QR 인증 등으로 상당 수의 이용자를 확보한 상황에서 선두로 나서고 있다.

우위를 다투는 상황에서도 카카오는 이용자 3000만명을 달성해 앞서 나가는 모양새다. 이는 2020년 말 행정안전부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도입 시범사업자에 선정된 후 여러 공공사이트 인증서로 활용되며 우위를 점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의 경우는 최근까지 2700만 이용자와 200개 이상의 제휴처를 확보하고 있다. 후발 주자로서 네이버는 자사 인증서로 연말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100원부터 100만원까지 주는 이벤트를 진행하며 추격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은행권 역시 올해부터 연말정산을 시작으로 비금융권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한 인증서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앞서가는 곳은 지난 2019년 7월 가장 먼저 인증서를 출시한 KB국민은행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2월 공공분야 전자서명 시범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은행권에서 KB국민은행의 대항마는 신한은행이다. 신한은행은 자사 ‘신한 쏠(SOL)’ 인증을 ‘신한 사인(SIGN)’으로 개편하고 지난해 9월 금융권 최초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서명인증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품절대란까지 일며 인기를 얻고 있는 ‘LG 스탠바이미’ 등의 경품을 건 추첨 이벤트까지 진행하며 이번 연말정산 서비스 인증서 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하나은행이 최근 전자서명인증사업자로 선정되는가 하면, 우리은행, NH농협은행도 올해 안에 자체 인증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한편 핀테크 업계에서는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가 운영하는 토스 인증서가 있지만, 올해 연말정산 인증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토스측은 자사 플랫폼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권의 사설인증서 경쟁은 수수료 수익 뿐 아니라 마이데이터 서비스와 결합돼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이에 각 기업은 보다 간편하고 이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인증서 활용 방식을 선보이며 경쟁에 나서고 있다. 향후 전자서명인증사업자는 더욱 늘어나며 경쟁 역시 치열해질 전망이다.

황정호 기자

jhh@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영업이익 933% 신화’ 삼성전자와 AI

삼성전자의 933% 영업이익 급증 소식에 대해 국내뿐만 아니라 외신들이 크게 주목하고 있다. 세계 최대 메모리 칩 제조업체 중 하나인 삼성전자의 AI에 대한 수요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AI 기능을 대폭 확대해 출시한 스마트폰 시리즈 갤럭시S24의 판매 호조가 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클레이튼 핀시아 통합 체인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 공개, 탈중앙화금융 강화 통해 아시아 1위 메인넷 로드맵 소개

토종 글로벌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핀시아(Finschia)의 통합 블록체인 추진 협의체 ‘프로젝트 드래곤(Project Dragon)’이 30일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를 공개했다.

[생성형 AI 붐 시대②] 양날의 검 AI···활용 성과 및 리스크

AI 활용의 효율성 속에서도 아직 주 사용자인 기업들에게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기업은 AI를 활용하면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동시에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고 불안해 하고 있다. 페이크AI의 부작용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에 각국 정부가 AI책임 규범을 만들고 있다.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