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식은 왜 떨어지나···미국 최고부자 6명이 505조원 날린 배경

코로나 19 팬데믹 여파로 올해 IT 기술주가 폭락하며 사라진 세계 최대 첨단기술 기업 창업자와 최고경영자(CEO) 6명의 재산만도 4,000억 달러(약 505조 원) 이상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큰 재산 손실을 본 사람은 일론 머스크(맨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프 베조스, 마크 저커버그, 빌 게이츠, 래리페이지, 세르게이 브린이었다. (사진=위키피디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술주가 폭락하면서 올해 가장 부유한 IT기업 창업자와 경영진의 재산 손실액도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특히 가장 큰 재산 손실을 본 사람으로 일론 머스크, 제프 베이조스, 마크 저커버그, 세르게이 브린, 래리 페이지, 빌 게이츠 6명이 꼽혔다. 이들의 재산 손실액은 무려 4,000억 달러(약 505조 원)에 이르렀다. 내년도 우리나라 국가 예산 규모인 638조 7000억원 규모와 비교할 때 얼마나 엄청난 규모인지 짐작할 수 있다

마켓 인사이더는 29일(현지시각) 불안해진 거시경제 상황으로 인해 기술주에서 안전한 피난처로 자본이 유출됐고 이 과정에서 억만장자들에게서 사라진 엄청난 재산 규모와 배경에 주목했다.

주인공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 구글 공동 창업자, 그리고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MS) 창업자였다. 이들의 재산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사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재산도 뭉텅이로 날아갔다.

마켓인사이더는 최신 보고서에서 이들이 잃은 4000억 달러는 테슬라(3450억 달러), 엔비디아(3520억 달러), JP모건 3개 회사의 시가총액(3880억 달러)을 합친 것과 같은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들 6인의 억만장자가 보유한 기술주 추락의 가장 큰 원인은 코로나 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장기화 여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 원자재 수급불안과 이에 따른 경제 혼란, 그리고 코로나19 기간 중 미국 정부의 자국민들에 대한 지원금 지급 이후 최고조에 달한 미국의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미 연준(FRB)의 금리인상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대가 되면서 투자자들의 자금은 강세였던 기술주에서 코로나19의 경제적 역풍에서 살아남을 것으로 보이는 회사들로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애플과 MS 같은 회사들이 2조 달러(약 2523조원) 가치에 도달한 것은 이 몇 년 동안이었고 테슬라는 비록 자동차 제조업체지만 주가가 급격하게 상승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미국 FRB가 금리인상으로 이에 개입하면서 올해까지 잘 이어져 왔던 완벽한 행진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사실상 제로(0)였던 금리는 주기적으로 인상됐고 올해가 끝 나가는 현 시점에서 금리는 4%까지 올라 있다. 투자자들은 이에 반응해 가지고 있던 기술주를 전반에 걸쳐 팔아치웠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연초와 비교해 41%나 하락했다.

왜 투자자들은 기술주로부터 도망갔나

미국 FRB가 은행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대출이자가 더 비싸졌고, 이것이 수요를 줄였으며, 이는 다시 약간 더 높아져 가고 있던 물가를 낮췄다. 이것은 금리 인상의 의도된 결과였다.

그러나 마켓인사이더는 이 조치가 주식에 비해 위험성 적은 자산인 저축과 채권의 수익률을 개선하는 또 다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술주는 향후 잠재적인 현금 흐름에 대한 평가를 받지만, 세계가 불황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향후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이들 종목의 매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투자자들은 덜 위험한 자산에 돈을 투자했고 기술 주식의 가치는 떨어지기 시작했다. 개인 재산이 자신들이 보유한 주식에 묶여 있는 세계적 기술기업 창업자들과 CEO들의 자산 가치를 수백억 달러(수십 조원)씩 휩쓸어 갔다.

일론 머스크, 제프 베이조스, 마크 저커버그가 최대 패배자

일론 머스크는 올해 1,400억 달러(약 177조 원) 이상의 재산이 사라지는 것을 지켜보면서 억만장자 그룹 가운데 가장 큰 재산 손실을 본 인물이 됐다. 제프 베이조스도 올해 아마존의 주식 가치가 반토막 나면서 860억달러(약 108조 원)가 사라져 개인 재산을 엄청나게 잃었다.

지난해 메타버스에 꽂힌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는 올해 회사 주가가 66% 가까이 떨어졌고 재산이 810억 달러(약 102조 원) 이상 급감했다. 결국 블룸버그 억만장자 톱10 그룹에서도 밀려났다.

구글 창업자인 알파벳의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총 920억 달러(약 116조 원)를 잃었고 MS 창업자 빌 게이츠는 올해 거의 300억 달러(약 38조 원)를 잃었다.

마켓인사이더는 보고서에서 이 기업들의 창업자와 임원들이 잃은 400억달러는 테슬라(3450억 달러)와 엔비디아(3520억 달러)와 JP모건의 시가총액(3880억 달러)을 합친 것과 같은 규모라고 집계했다.

하지만 이 손실조차도 여전히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전염병으로 일자리를 잃고 있을 때 이 사람들이 게걸스럽게 먹어 치운 수조달러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미 2016년 세계경제포럼은 전세계 1%의 재산이 99%의 재산보다 많게 됐다는 보고서를 냈다.)

FRB가 경제가 완전한 질식되는 것을 피하려 하기 때문에 이같은 경기 후퇴와 기술주 하락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고 말지, 2023년까지 더 계속될지는 지켜 볼 일이다.

이재구 기자

jkle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