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는 이유

[AI 요약]

AI를 문제풀이에 활용하지 못했던 이유는 실제로 문제를 풀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연산 능력이 좋아도, ai는 사인(sin), 코사인(cos)과 같은 기초 수학 기호 약어를 인식하지 못했으며, 이때문에 ai는 레이블링을 통한 얼굴 및 사물 인식, 패턴 인식에 치중되어 발전했다. AI기술은 사람이 문제를 잘 풀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지난 3일,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6월 전국 연합 학력 평가가 치러졌다. 

6월 평가는 수능의 출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시험이며, 결과에 따라 난이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능 바로미터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인공지능(AI)도 모의고사를 풀 수 있을까? 답은 그럴 수 없다.

 

AI는 수학적 기호 인식 못해

사실 지금까지 AI를 문제풀이에 활용하지 못했던 이유는 실제로 문제를 풀지 못해서다.

아무리 연산 능력이 좋아도, AI는 사인(sin), 코사인(cos)과 같은 기초 수학 기호 약어를 인식하지 못했다. 해당 기호들은 문제에 따라 여러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학습 자체가 어려웠다. 이때문에 AI는 레이블링을 통한 얼굴 및 사물 인식, 패턴 인식에 치중되어 발전했던 것.

하지만 점점 해결의 전조는 보이고 있다. 지난해, 페이스북 AI 연구팀은 수학적 약어를 시퀀스, 즉 구성 단위로 묶어 ‘시퀀스 투 시퀀스(seq2seq) 신경망’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찾아냈다.

이는 번역 작업에서 AI가 자연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적용한 것으로, 연구팀은 이들은 8000만개의 적분식, 2000만개의 미분식의 데이터셋을 생성해 신경망을 학습시켰다. 수학적 표현의 패턴을 머신러닝에 인식시킨 최초의 연구결과다. 

이렇듯, 현재 AI 기술은 사람의 문제를 대신 풀어주는 것이 아닌, 사람이 문제를 잘 풀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모르는 문제 찾아드립니다.

지난 달, AI 문제풀이 검색 서비스 ‘콴다(QANDA)’의 문제 해결 건수가 20억 건을 넘어섰다.

콴다는 학생이 모르는 문제를 그대로 사진을 찍으면 앱 내 검색엔진이 해당 문제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형태의 문제를 검색해 관련 해설을 제공한다.

콴다를 운영하는 메스프레소가 개발한 AI 엔진은 OCR 기술으로 바탕으로 학생이 업로드한 이미지의 문제 속 문자와 수식 기호를 인식해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콴다 앱 문제 검색 결과
콴다 앱 문제 검색 결과

 

메스프레소에 따르면, 콴다 앱에 하루 평균 질문 수는 600만 건을 상회한다. 이는 매 초마다 약 69개의 문제가 올라오고 검색되는 셈이다.

최근 1년 간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학생들이 학교나 학원에 갈 수 없게 되자, 콴다 서비스를 대신 활용하고 있어 더 늘어난 것.

기존의 문제 해설집과의 차이점이라면 문제 풀이만 있는 게 아니라, 대학생 등 '콴다 선생님'으로 등록된 이들의 추가 해설이 붙여져 있다.

 

미래에 틀릴 문제, 미리 풀어보세요

AI는 학생이 또 틀릴 가능성이 높은 문제로 구성된 오답 노트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도한다. 

산타토익 서비스를 제공하는 뤼이드는 AI의 협력적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분석 기법을 활용해 플랫폼을 만들었다. 

‘협력적 필터링’은 다수 사용자로부터 얻은 선택 결과에 따라 비슷한 성향의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결과를 예측하는 분석 방법이다.

산타토익 시스템은 AI 필터링을 통해 사용자와 유사한 문제를 틀리는 사람을 찾아내고, 그 사람이 틀렸던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실제 시험에서 틀리기 전에 미리 학습시킨다.

산타토익의 AI 토익 튜터는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의 오답 패턴을 90% 이상의 확률로 예측 가능하다.

AI 에듀테크 관계자는 "교육의 목적대로 학생들이 답보다는 답을 찾게 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며, "교육에서의 AI 기술은 자체 풀이 보다 문제 큐레이션 제공, 학생의 학습 수준 평가 등 효과적인 학습 지원 쪽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