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다른 생각으로 성공을 이뤄라! 파괴적 사고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발전한 세상

전구, 자동차, 비행기, PC, 스마트폰…

이전에는 상상하지도 못했던 것들이 등장할 때마다 세상은 진일보했고, 지금 인류가 당연하게 영위하고 있는 많은 것들은 대부분 혁신의 결과물이다. 그런데 과거 몇 년에 한 번씩 나올까 말까 했던 혁신이 이제는 한 달에 한 번, 아니 수백, 수만 번 나오는 세상이 되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세상의 변화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혁신하지 않는 기업은 비명 한 번 내지르지 못하고 사라지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래서 개인이나 기업이나 할 것 없이 시장은 지금 '크리에이티브' 전쟁 중이다. '남들과는 다른 생각'을 해야 하고 '생각의 틀을 깨야 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어디 쉬운가. 인간은 가급적 편하게 생각하려고 하고, 기존의 생각과 행동에서 좀처럼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구조적으로 그렇게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의도적으로 이 구조를 한 번 바꿔보면 어떨까?


생각의 틀을 깨는 방법

소설가 김영하 작가는 '절대 쓰지 않을 이야기들의 목록'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뭘 할 때, 꼭 해야 한다고 써 놓으면 쓸 때부터 제한되기 때문에 반대로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족과 함께 가고 싶은 여행지를 정할 때 가고 싶은 곳을 떠올리면 자꾸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생각이 좁아진다고 한다. 그런데 안 갈 곳을 정할 때는 어차피 안 갈 거니까 신나게 얘기하고 싸울 일도 없는데, 그러다 문득 "왜 못 가지? 갈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 의외로 어렵지도 않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소설을 쓸 때도 '꼭 써야지' 하는 걸 쓰려고 하면 생각이 제한되는데 쓰지 않을 이야기들의 목록을 만들고 나중에 다시 보면, 시대 혹은 자신이 바뀌어서 쓸 수 있는 이야기들이 생기기도 한다는 것이다.

필생의 역작 이러면 안 돼요. 
사람 마음이 무거워져서.
절대로 안 쓸 거라고 생각하니까
온갖 허망한 것도 다 쓰는 거예요.

김영하 작가의 절대로 쓰지 않을 책들의 목록에 적혀 있었던 이야기 <살인자의 기억법>

비슷한 맥락에서 파괴적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해 볼 수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파괴 대상 규정하기
"기존에 사람들이 전혀 생각하지 못한 솔루션을 통해 __________ 분야에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만한 파괴를 하자!"

[2단계] 통념 찾기
"경쟁사들이 공통적으로 따르는 통념은 __________ 라는 통념이다"

[3단계] 통념 부정하기
"만약에 __________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4단계] 파괴적 솔루션 찾기
"우리의 (제품/서비스) __________를 다른 카테고리의 (제품/서비스) __________와 조합해보면 어떨까?"

[5단계] 이미지로 각인하기
" __________ (롤모델이 했던 일)처럼 우리는 __________ (우리 업계)에서 하겠다!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는 정도가 클수록 지금껏 누구도 뒤집을 시도조차 안 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차별화의 정도도 커진다. 

본 기사의 원문은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IGM세계경영연구원

insightlab@igm.or.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구글뉴스에 언론사의 매체 등록이 어려워지다…신생 언론사 혼란 예상

이제는 구글 뉴스 정책이 1단계와 2단계를 수동 신청에서 자동으로 변경했기 때문에 과거 언론사들이 힘들어하던 3단계의 답답함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는 구글에 매체 등록 승인 신청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내 매체가 구글 뉴스에 매체 등록된 것조차도 확인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가볍게 훑어보는 엔비디아 히스토리 ①리바TNT부터 지포스256까지 GPU의 시작

요즘 가장 뜨거운 기업은 엔비디아죠. 엔비디아는 왜 유명해졌고,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또 지금 왜 가장 주목받는 기업이 되었는지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끝내지 못한 일때문에 괴롭다면?

끝내지 못한 일이 이들을 심리적으로 긴장하게 하고, 그 일에 미련을 갖게 해 더 오래 기억한 건데요. 이걸 자이가르닉 효과라고 합니다.

이제는 AGI를 준비해야 할 시기

이제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뛰어넘는 범용 인공지능을 언급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어요. 여러 분야에 두루 쓰이는 인공지능이라면 인공지능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의 까다로운 입맛에 잘 맞춰줄 수 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