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플러스, 11월 한국 상륙...OTT 소비자 대이동 시작되나

디즈니 플러스의 한국 진출 일정이 나왔다. 국내 OTT 시장은 넷플릭스가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토종 OTT인 웨이브와 티빙이 간극을 좁히면서 1강 2중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 뒤를 쿠팡플레이, 왓챠 등이 쫓고 있는 가운데 디즈니 플러스의 진출로 인해 소비자 대이동 예고된다.

디즈니 플러스는 12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오는 11월 중순 한국, 대만, 홍콩 등 8개 시장에 추가로 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디즈니는 넷플릭스, IPTV 에 제공하던 마블, 스타워즈 등 인기 콘텐츠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매니아 층이 높은 콘텐츠인 만큼 디즈니 플러스가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기존 OTT 서비스 이용자 다수가 디즈니 플러스로 이동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OTT 소비자들의 이동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현재 국내 OTT 시장 1위는 넷플릭스로, 닐슨코리아클릭에 따르면 월간 방문자(MAU)는 2021년 6월 기준 790만명이다. 그러나 올해 1월 가입자가 900만명 수준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 진출 초기 만큼의 파급력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OTT 소비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업자보다는 IP(지적재산권)에 따라 OTT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 3위 OTT 사업자 역시 이러한 소비자 경향으로 이익을 봤다. 웨이브는 6월 기준 MAU 388만명을 기록했다. SK텔레콤과 지상파 방송3사가 운영하는 웨이브는 상반기 중 TV드라마로 인기를 끌었던 SBS '펜트하우스'의 인기가 OTT 소비자도 증가시켰다. 3위는 티빙이다. 티빙의 MAU는 334만명이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디즈니플러스의 한국 진출은 서비스 시작부터 주요 시장 플레이어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게 예상된다. 디즈니 플러스가 보유한 압도적인 콘텐츠 파워 때문이다.

디즈니 플러스는 마블 시리즈, 스타워즈, 아바타, 타이타닉 등 팬 층이 두터운 영화부터 겨울왕국, 주토피아 등 애니메이션,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다큐멘터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는에서만 감상할 수 있는 오리저널 콘텐츠만 해도 7500편 이상의 TV 시리즈와 500편 이상의 영화에 달한다.

콘텐츠를 앞세운 디즈니 플러스는 출시 16개월 만에 1억 명을 구독자를 모으기도 했다. 외신은 오는 2024년까지 2억3000만~2억6000만명에 달하는 구독자를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루크 강 월트디즈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디즈니플러스는 폭넓은 콘텐츠로 아시아·태평양 소비자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전 지역의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디즈니플러스는 LG유플러스와 제휴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IPTV를 통해 우선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LG유플러스는 2018년 넷플릭스 한국 진출 시 제휴하기도 했다.

석대건 기자

daegeon@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 딥엘 창업자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자체 LLM 기반 언어 AI 개발…번역, 글쓰기 이어 음성 번역 서비스도 선보일 것”

26일 딥엘의 창업자인 야렉 쿠틸로브스키 CEO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시장 진출 1년의 성과와 향후 전략을 발표했다. 쿠틸로브스키 CEO가 소개한 딥엘 라이트 프로는 딥엘의 자체 거대언어모델(LLM)로 구동되는 첫 서비스로, 기업이 사내외 커뮤니케이션, 계약서 등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 상황에서 더 명확하게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 그럼 이제 ‘틱톡’은 누가 사게 되나요?

미국 의회가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하루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에 서명함에따라, 설마했던 미국 틱톡 금지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와 업계는 틱톡의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전략을 빠르게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