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한 MWC 2021, 그 흥행을 쥐고 있는 일론 머스크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1이 28일(현지시간) 개최됐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지난해에는 개최가 불발됐었죠. 올해도 코로나19 사태는 여전히 세계 최대의 모바일 및 통신 전시회 MWC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주요 기업이 온라인으로만 참여하는 등 불참 사례가 많고, 애플은 자체 행사를 하는 이유로 참석하지 않고 있죠. 이에 따라 대중의 관심도 시들하고, 예전과 같은 취재 경쟁도 찾아보기 힘듭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주최하는 MWC는 2010년대 들어와서 전세계의 첨단 IT기술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 전까지는 소비자가전쇼인 CES가 대세였죠. 그러나 스마트폰 대중화로 모바일 시대가 열리면서 MWC가 왕좌에 앉았습니다. IT 좀 한다는 기업은 반드시 MWC에 참가해야 기술력을 인정 받았었고, 중국 등지에서 지역별 행사까지 여는 등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MWC의 기세를 단번에 꺾었습니다. 2020년은 행사를 열지도 못했고, 올해는 주요기업이 빠지거나 오프라인 부스도 없이 온라인으로만 참여하는 등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했습니다. 2019년 행사에는 전세계 20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했지만, 올해 참가 업체는 그 절반 수준인 1100여개 기업입니다.

일상으로의 복귀 내세운 CES...그러나 MWC는 코로나에 발목?

올해 1월에 열린 CES 2021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보복 소비 영향으로 소비자 가전에 대한 수요와 맞물려 예상 보다는 나은 성적을 거뒀습니다. 미국의 화웨이 제재 이슈 탓에 중국 업체들 대거 빠졌지만, 주요 업체들이 대부분 참가해 '중박' 정도의 성과를 거뒀습니다. CES의 주제도 '일상'에 맞춰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가게 해주는 기술과 제품, 서비스를 내세워 대중의 적절한 관심을 이끌어 냈습니다.

그러나 MWC는 CES 만큼 흥행이 예상되지 않습니다. 스페인 현지 시간으로 이미 개최를 했지만, 삼성전자가 온라인으로 발표한 '원 UI 워치' 공개나 퀄컴이나 IBM의 온라인 발표 내용 외에는 눈에 띄는 소식이 없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하드웨어 신제품 발표가 아니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그다지 있다고 보기 힘든 상황입니다.

MWC 2021의 주제는 '커넥티드 임팩트'로 5G(5세대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모바일 생태계, 빅데이터 기술 등이 주인공입니다. 시대를 관통하는 핵심 기술이기는 하지만, CES 때 처럼 시의적절한 적용사례가 덜 담긴 느낌입니다.

모바일 기술 분야의 글로벌 업체 중 대부분이 온라인으로만 참가합니다. 수년간 MWC의 메인 스폰서였던 삼성전자가 일부 온라인으로만 참가했고, LG전자 역시 마찬가집니다. MWC 단골 참가기업이었던 국내 이동통신 3사도 온라인으로만 참가했습니다. 글로벌 기업 중 주요 기업인 노키아, 에릭슨, 인텔, 엔비디아, 소니 모바일, 오라클 등도 오프라인으로 참가하지 않습니다.

MWC 2021의 흥행은 일론 머스크...스페이스X '스타링크' 프로젝트

이렇듯 시들한 MWC의 흥행 여부를 쥐고 있는 것은 기조연설에 나오는 스페이스X입니다. 더 정확히 이야기 하면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CEO인 일론 머스크에 MWC의 흥행이 달려 있는 것이죠.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및 테슬라 CEO가 MWC 2021 기조연설에 등장한다.

일론 머스크는 MWC 2021 기조연설에서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통신에 대해 강연합니다. 통신 위성을 띄워 전세계의 소외된 국가 및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가 스타링크입니다. 그리고 이 주제는 코로나19 시대에 딱 들어 맞는 낙후 지역의 정보화를 키워드로 담고 있기에 흥행 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최근 코인 파동의 주범으로 많은 이들의 원성을 사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으로 테슬라 자동차 결제를 번복하는 한편, 도지코인 말장난(트윗)으로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기업 이미지도 실추시켰죠.

이번 MWC는 일론 머스크-테슬라-스페이스X 스스로도 분위기 전환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고, 동시에 한때 대세였던 MWC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는 조합이기도 합니다.

단 일론 머스크와 함께 MWC 기조연설에 나올 IBM, AWS, 버라이즌의 CEO가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혁신적인 서비스나 첨단 기술의 재발견 수준의 발표를 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습니다. 코로나19에 멈춰있던 지난 1년 여 동안, 우리 주변을 관통하는 테크 트렌드는 '일상으로의 복귀, 그리고 언택트 서비스의 재발견'였기 때문이죠.

그래도 일론 머스크와 주요 IT기업이 공개하게 될 소식은 현재의 '코로나 블루'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테크이기에, 흥행 여부와 상관 없는 기대감을 가져 봅니다.

김효정 기자

hjkim@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인터뷰] 김민성 아드리엘 부대표 “글로벌 디지털 마케팅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한국의 B2B SaaS 솔루션으로 인정받게 할 겁니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는 아드리엘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달 김민성 부대표의 합류는 아드리엘의 글로벌 시장 공략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취임의 변을 통해 김 부대표는 아드리엘을 “글로벌 마케팅 분석 및 시각과 솔루션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최고의 SaaS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울 종로구 아드리엘 본사에서 진행된 김 부대표와의 인터뷰는 이와 관련된 질문으로 시작했다.

‘영업이익 933% 신화’ 삼성전자와 AI

삼성전자의 933% 영업이익 급증 소식에 대해 국내뿐만 아니라 외신들이 크게 주목하고 있다. 세계 최대 메모리 칩 제조업체 중 하나인 삼성전자의 AI에 대한 수요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AI 기능을 대폭 확대해 출시한 스마트폰 시리즈 갤럭시S24의 판매 호조가 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클레이튼 핀시아 통합 체인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 공개, 탈중앙화금융 강화 통해 아시아 1위 메인넷 로드맵 소개

토종 글로벌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핀시아(Finschia)의 통합 블록체인 추진 협의체 ‘프로젝트 드래곤(Project Dragon)’이 30일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를 공개했다.

[생성형 AI 붐 시대②] 양날의 검 AI···활용 성과 및 리스크

AI 활용의 효율성 속에서도 아직 주 사용자인 기업들에게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기업은 AI를 활용하면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동시에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고 불안해 하고 있다. 페이크AI의 부작용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에 각국 정부가 AI책임 규범을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