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2023년 15인치 맥북에어, 12인치 맥북 출시 전망

[AI요약] 내년도 애플의 노트북 제품이 더욱 풍성해질 전망이다. 현재 13인치 맥북에어와 맥북프로, 14인치 및 16인치 맥북프로로 나뉜 제품 유형에서 15인치 맥북에어와 새로운 12인치 맥북 등 보다 다양한 규격을 가진 신제품이 오는 2023년 대거 출시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WWDC 2022 행사를 통해 공개된 M2 맥북에어 (사진=애플)

이번 주 애플 개발자 컨퍼런스인 WWDC 2022 행사를 통해 신형 M2 칩셋을 탑재한 13인치 맥북에어와 맥북프로를 선보인 애플이 내년인 2023년에는 더욱 다양한 신제품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이 2023년 봄, 더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지난 15인치 맥북에어를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지난 2008년 처음 등장한 맥북에어는 지금까지 11인치와 13인치 등 소형 디스플레이 제품 중심으로 설계됐다.

15인치 맥북에어가 출시된다면, 지금까지 유지했던 맥북에어의 제품 특성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개편으로 여겨질 전망이다. 같은 제품 유형에서 디스플레이 크기와 사양을 다양화하는 것은 델이나 HP, 레노보 등 기존 PC 제조사에서 주로 쓰던 제품 마케팅 방법이다. 애플은 2000년대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 복귀한 이후 제품 구성을 단순화하고 세분화하는 것을 지양하는 방식을 채택해왔다.

그러나 애플은 자체 개발 칩셋이 M1 출시 이후 충분히 확보된 자체 설계 기반과 비용 절감 조치를 통해 소비자 기호에 걸맞은 제품 다양화를 차근차근 추진하고 있다. 베스트셀러 제품인 맥북에어 다양화는 수년 전부터 시장에서 기대되던 흐름이었다고 블룸버그는 진단했다.

15인치 맥북에어와 함께 지난 2019년 단종된 12인치 맥북도 부활할 것으로 보인다. 소형 초경량 노트북 제품으로 재탄생한다는 전망이다.

2015년 출시 후 2019년 단종된 12인치 맥북 (사진=애플)

12인치 맥북은 2015년 출시돼 맥북 시리즈 중 가장 휴대성 높은 제품으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성능 부족과 아쉬운 가성비, 새로운 규격의 나비형 키보드에 대한 거부감 등 몇몇 단점으로 2019년 단종된 바 있다. 부활하는 12인치 맥북이 예전 기종의 특징을 그대로 이을 것인지, 고성능 고가 프리미엄 제품으로 새롭게 차별화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된 정보가 없는 상태다.

15인치 맥북에어와 12인치 맥북 외에도 M2 프로 및 M2 맥스 칩셋을 탑재한 새로운 고급형 맥북프로 제품도 이르면 올해 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극심한 반도체 수급난으로 실제 제품 출시일은 2023년 초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M2 프로 및 M2 맥스 칩셋은 14인치와 16인치 맥북프로 제품에 탑재되며 최대 12개의 CPU와 38개의 GPU가 탑재되는 등 기존 M1 프로와 맥스 제품보다 더 높은 성능을 지녔으면서도 균형 잡힌 전력 소모율을 보이는 등 안정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M2 프로 및 맥스 칩셋은 차기 맥미니와 아이맥, 맥프로에도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M1 칩셋 출시 이후 맥 판매 수익은 크게 높아졌다. 이번 회계연도 2분기 기준으로 애플은 104억달러(약 13조원)의 분기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2분기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매출이다. 2020년 M1 칩셋 출시 시기와 겹친다.

애플은 블룸버그의 관련 보도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다.

추현우 기자

goodgle@tech42.co.kr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저작권자 © Tech42 - Tech Journalism by AI 테크4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클레이튼 핀시아 통합 체인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 공개, 탈중앙화금융 강화 통해 아시아 1위 메인넷 로드맵 소개

토종 글로벌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핀시아(Finschia)의 통합 블록체인 추진 협의체 ‘프로젝트 드래곤(Project Dragon)’이 30일 신규 브랜딩 ‘카이아(kaia)’를 공개했다.

[생성형 AI 붐 시대②] 양날의 검 AI···활용 성과 및 리스크

AI 활용의 효율성 속에서도 아직 주 사용자인 기업들에게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기업은 AI를 활용하면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동시에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고 불안해 하고 있다. 페이크AI의 부작용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에 각국 정부가 AI책임 규범을 만들고 있다.

AI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은 ‘구글·유튜브’

구글이 지난해 법무부가 기소하면서 시작된 반독점 재판과 기업이 야심차게 출시한 새로운 AI 도구가 사실상 흥행 실패한 가운데, 알파벳은 사상최초로 배당금 700억달러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알파벳은 적극적으로 생성형 AI 프로젝트에 리소스를 전환하면서 ‘한 세대 한번’ 뿐인 기회를 잡았다.

[생성형 AI 붐 시대①] 생성형 AI 산업 대폭발과 그 주변

AI 인덱스 보고서가 보여주는 AI 분야 경쟁 트렌드와 활용 및 과제 등을 포함하는 주목할 만한 15개 지표는 ▲생성형 AI투자 폭발 ▲폐쇄형 모델이 개방형 모델 성능 능가 ▲이미 매우 비싸진 파운데이션 모델 ▲미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선두 국가로 자리매김 ▲구글이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 기업 가운데 독주 ▲AI 경쟁에 따른 무거운 탄소 발자국 발생 부작용 ▲AI 개발자들의 인종적 다양성, 일부 진전 ▲포춘 500 기업 조사결과 최소 1개 사업부가 AI 구현 ▲AI를 사용한 기업들의 비용 축소 및 매출 증가 ▲업계가 새로운 AI 박사 학위자들 채용 ▲기업들의 AI리스크 인식 ▲아직까지 인간을 능가하지 못한 AI ▲잇단 AI 책임 규범 개발 ▲법이 AI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한편으로 제약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AI로 요약된다.